수소차, 2018년부터 3,000만원대 구입 가능해진다
◇ 2030년 신차판매 10대 중 1대는 수소차가 차지할 전망
◇ 수소차 시장 활성화로 온실가스 감축과 수소산업 육성 기대
□ 이르면 2018년부터 친환경차인 수소차를 3,000만원대에서 구입할 수 있게 된다.
□ 환경부(장관 윤성규)는 산업통상자원부(장관 윤상직)와 함께 ‘수소차 보급 및 시장 활성화 계획’을 수립하여 15일 국무회의에서 확정했다
밝혔다.
○ 이번 계획에서 정부는 보조금과 수소차 가격 인하 등을 통해 현재 5,000만원대에서 구입할 수 있는 수소차를 2018년에는 3,000만원대
후반, 2020년에는 3,000만원대 초반 수준에서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.
□ 이에 따라 수소차 구매시 지원하는 2,750만원의 정부보조금과 지원대수를 점차 확대하고, 정부보조금 외에 지자체에서 수소차 구매 보조금
을 추가로 지원하는 방안도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.
* 추가지원 방안 예시 : 전기차는 정부 보조금 1,200만원(‘16년) 외에 지자체에서 평균 520만원 지원 중이며 수소차도 같은 방식으로 지원될
것으로 예상
○ 수소차를 구매와 등록할 때 부과되는 세금도 하이브리드차,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, 전기차 수준으로 감경하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해
나가기로 했다.
○ 아울러 민간보급 활성화를 위해 현재 수소차 출고 가격(8,500만원)을 2018년 6,000만원, 2020년 5,000만원 수준으로 인하될 수 있도록
할 계획이다.
* 수소차 가격 인하 추이 : 1억 5,000만원('13∼'14) → 8,500만원('15.2월∼)
* 차량 가격 비교 : 수소차 8,500만원, 동급 내연기관차 3,000만원
□ 수소차 보급물량 목표는 2020년까지 9,000대, 2030년까지 63만대이며, 연간 신차 판매 중 수소차 비율을 10%(수소차 18만대/신차판매
167만대/년)로 높일 계획이다.
* 2015년 수소차 보급물량 : 71대가 판매되어 신차 판매량의 0.01% 수준
< 수소차 보급계획 > (단위: 만대)
구 분 |
'16∼'20 |
'21∼'25 |
'26∼'30 |
'31∼'50 |
수소차(누계) |
0.9(0.9) |
9.1(10) |
53(63) |
637(700) |
□ 수소충전소는 2020년까지 80곳, 2030년까지 520곳이 설치된다.
○ 수소충전소 설치시 보조금은 1곳당 15억원이 지원되며, 장기적으로 융자방식으로 전환된다.
* 2016년 3곳(광주, 울산, 창원) 45억원 지원(15억원×3곳)
○ 수소충전소 운영비와 수소차 보급초기에 설치한 충전소의 시설용량 증설 비용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될 예정이다.
< 수소충전소 보급계획 > (단위 : 대)
구 분 |
'16∼'20 |
'21∼'25 |
'26∼'30 |
'31∼'50 |
수소충전소(누계) |
70(80) |
130(210) |
310(520) |
980(1,500) |
□ 수소차 원료인 수소공급은 기존 부생수소를 활용하는 방식 외에 새로운 수소생산 방식이 도입된다.
○ 석유화학단지 등 수소 생산지로 부터 200㎞이내 지역 위주로 부생수소를 공급하되, 압축천연가스(CNG)충전소 등의 가스를
개질(改質, Reforming)하여 수소를 공급하는 충전소가 실증사업을 거쳐 도입된다.
* 연간 부생수소 생산량은 140만톤, 이중 10만톤을 수소차에 공급 가능
* 개질 수소 공급 충전소 : 압축천연가스(CNG), 액화석유가스(LPG)충전소에 개질기 설치 또는 발전용 연료전지로 수소를 생산하는 충전소
○ 이와 함께 2020년까지 풍력과 태양광발전소의 전기로 수소를 생산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실증사업과 핵심기술 개발도 진행된다.
□ 수소차와 수소충전소 관련 핵심기술이 개발되고, 수소충전소 관련 제도가 정비된다.
○ 2020년까지 수소차 연비를 10% 높이고(76.8→85km), 수소버스도 개발하여 실증과정을 거쳐 2026년부터 보급될 전망이다.
○ 또한 수소 측정센서, 저장용기 등 충전소 주요부품의 국산화율을 80%대로 높여(현행 40∼60%) 충전소 설치비용을 줄여나갈 계획이다.
○ 충전소 설치기간을 10개월에서 5개월로 단축하고, 부지 소요면적도 1,000㎡에서 500㎡로 줄일 수 있는 압축·저장·충전설비의 모듈화
기술이 개발된다.
○ 4.5톤 이상 수소차 안전기준을 2017년과 2020년 사이에 신설하고, 향후 2020년과 2025년 사이에 국제기준 개정을 주도해 나갈
계획이다.
* 현재 4.5톤 미만 수소 차량에 대한 안전기준만 수립되어 있음
○ 아울러, 수소충전소 설치와 관련된 ‘고압가스 안전관리법’, ‘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’ 규정사항 등이 집중적으로 정비될 예정이다.
□ 한편 미국, 영국 등 주요 국가는 국제에너지기구(IEA)의 전망치 보다 훨씬 높은 수소차 보급 로드맵을 이미 수립하여 추진 중에 있다.
* 각국 수소차 보급 로드맵 : 미국 2050년 27%, 영국 2050년 30∼50%, 독일 2030년 25%, 일본 2030년 30%
** IEA 수소차 연간 신차 판매율 전망 : 2030년 1.8%, 2050년 17.7%
○ 이번에 우리나라도 주요 국가 수준으로 수소차 보급 로드맵을 마련하였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.
* 연간 신차중 수소차 판매비율 : 0.26%('20)→10.8%('30)→ 20%('40)→ 25%('50)
□ 수소차는 내연기관 엔진이 없으며, 외부의 전기 공급 없이 수소를 이용하여 전기를 자체 생산하여 구동되는 차량으로 대기오염물질과
온실가스 배출이 전혀 없으며 물만 배출하는 친환경차다.
* 전기차는 외부에서 전기를 충전하여 구동
□ 환경부는 2030년까지 수소차 63만대가 보급되면 온실가스 440만톤, 대기오염물질 5,500톤 감축과 석유 소비량 6.3억ℓ 절감이
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.
○ 수소관련 산업을 통해 84조원의 경제적 효과와 9만 4,000명의 고용창출 효과도 예상했다.
* 수소관련 산업 : 수소차 부품· 수소 저장장치· 수소배관 제조, 수소 충전소 건설 산업 등
** 수소관련 산업 규모 : 수소차 79조원(내수 24, 수출 55), 충전소 1.4조원, 수소산업 2.7조원 (중앙환경에너지 제공)
붙임 1. 수소충전소 운영 현황
2. 수소차 개요.
3. 질의응답.
4. 전문 용어 설명. 끝.
붙임 1 |
|
수소충전소 운영 현황 |
구분 |
설치 년도 |
위치 |
지원 사업명 |
운영기관 |
공급 방식 |
압 력 (bar) |
충전량 (㎏/일) |
환경부 (운영 2) |
2014 |
광주, 진곡 |
환경부 보조사업 |
광주광역시 |
부생수소 |
700 |
220 |
2015 |
충남, 내포 |
환경부 보조사업 |
충청남도 |
부생수소 |
700 |
430 | |
산업부 (운영 8) |
2010 |
서울, 양재 |
실증사업 1단계 |
현대자동차 |
부생수소 |
350 |
110 |
2010 |
서울, 상암 |
신재생에너지 랜드마크 조성 |
서울특별시 |
매립가스 개질 |
350 |
65 | |
2007 |
인천, 송도 |
충전소 기술개발사업 |
한국가스공사 |
NG개질 |
350 |
65 | |
2009 |
경기, 남양 |
실증사업 1단계 |
현대자동차 |
부생수소 |
700 |
430 | |
2005 |
경기, 마북 |
실증사업 1단계 |
현대자동차 |
부생수소 |
700 |
110 | |
2009 |
경기, 화성 |
충전소 안전설계지원 |
KATRI (자동차안전연구원) |
부생수소 |
700 |
20 | |
2013 |
대구, 서변 |
대구광역경제권선도사업 |
이엠코리아 |
수전해 |
700 |
110 | |
2012 |
울산, 매암 |
실증사업 2단계 |
현대자동차 |
부생수소 |
700 |
520 |
붙임 2 |
|
수소차 개요 |
□ (수소연료전지) 전기로 물(H2O)을 수소(H2)와 산소(O2)로 분해하는 반응의 逆반응을 이용하여
전기를 생산
수소(연료 공급)가 전자와 수소이온으로 분리된 후, 산소(공기 유입)와 화학반응하여 물과 전기로 전환
(H2 + 1/2O2 → H2O + 전기)
< 수소연료전지 원리 >
□ (수소차 특징) 수소연료전지자동차(이하 수소차)는 내연기관차와 달리 엔진이 없으며,
전기차와 달리 전기공급 없이 내부에서 전기를 생산
< 수소차 구성 및 기능 >
수소탱크 : 충전소에서 충전한 수소를 고압(700bar)으로 저장 · 연료전지 : 수소와 산소를 화학반응시켜 전기를 생산 · 배터리 : 연료전지 보조 및 전기 저장 · 모터 : 연료전지에서 생성된 전기로 자동차를 구동 |
□ (수소차 환경성) 수소차는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 배출이 전혀 없이 물만 배출하는
친환경자동차
자동차 온실가스 기준*과 오염물질 무배출차 판매 의무제** 대응 가능
* 기준(g/㎞) : 韓 140('15) → 97('21), 美 140('15) → 113('20), EU 130('15) → 91('21), 日 117('15) → 100('20)
** 미국 판매차 중 수소차 판매비율(‘18년 2%, '20년 6%, '25년 16%) 위반시 대당 벌금 2만불
붙임 3 |
|
질의응답 |
1. 수소차 보급목표 설정 근거는? |
○ (목표) 수소차 '20년까지 9천대, '30년까지 63만대 보급
※ 수소충전소는 '20년까지 80개소, '30년까지 520개소 보급
○ (근거) '30년 연간 신차 판매중 수소차 판매 비율을 10%(18만대/167만대)로 하여
자생적 시장을 조성하고,
- 세계 수소차 시장 점유율 15%(35.2만대/240만대)를 목표
※ '14년 세계 자동차시장 8,662만대 중 우리나라 시장점율은 10.3%(894만대)
2. 수소차 세금감경 계획? |
○ 전기차 구입·등록 단계의 세금감경 수준(400만원)*으로 지원 필요
- 수소차와 전기차는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은 오염물질 무배출차량
(저공해차 1종)
* 전기차는 개별소비세 200만원, 교육세 60만원, 취득세 140만원 등 감경 중
3. 지자체 구매 보조금 지원 유도 계획? |
○ 수소차 및 충전소 중점 보급도시 선정시 지자체 보조금 지원계획을 검토, 지자체 지원을
유도할 예정
- 중점 보급도시는 수소 공급여건, 지자체 보급의지, 수소차 보급 확산 효과 등을 검토하여
선정·운영
※ 전기차는 정부 구매보조금 12백만원('16년 기준), 지자체 보조금은 평균 520만원 지원 중
4. 외국의 수소차 동향 |
<4-1> 외국의 수소차 연구·개발 추진사항? |
○ 일본 도요타에서 수소차 ‘미라이’ 출시(‘14), 주요 제작사는 '16년, ’17년 수소차를 집중 출시할
예정*
* 혼다('16), 다임러('17), 포드('17), 닛산('17), GM('20), BMW('20)
<4-2> 외국의 수소차 보급 로드맵 내용? |
○ 미국 등 주요 국가는 국제에너지기구(IEA)의 수소차시장 전망치 보다 높은 보급 로드맵을
수립·추진 중
- (IEA 전망) '30년 1.8%, '50년 17.7%(연간 신차 판매중 수소차 비율)
- (각국 로드맵) 미국 '50년 27%, 영국 '50년 30∼50%, 독일 '30년 25%, 일본 '30년 30%
※ 우리나라 로드맵 : 0.26%('20)→10.8%('30)→ 20%('40)→ 25%('50)
붙임 4 |
|
용어설명 |
□ 수소연료전지차(FCEV : Fuel Cell Electric Vehicle)
연료전지 스택에서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를 얻은 후 생산된 전기로 모터를 움직여
주행하는 자동차
□ 하이브리드차(HEV: Hybrid Electric Vehicle)
내연기관(엔진)과 전기모터, 두 종류의 동력을 조합·구동하여 기존 내연기관보다 고연비,
고효율을 실현한 자동차
□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(PHEV:Plug-in hybrid Electric Vehicle)
하이브리드차 중에서 외부 전기 공급원으로부터 충전 받은 전기에너지로 구동이 가능한 자동차
□ 전기차(EV: Electric Vehicle)
고전압 배터리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기모터로 공급하여 차량에 구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
화석연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무공해 자동차
□ 부생수소
석유화학단지에서 가성소다(NaOH)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바닷물을 전기분해하여
(Nacl+H2O←전기분해) 생성되는 수소
□ CNG(Compressed Natural Gas) : 압축천연가스
□ LPG(Liquefied Petroluem Gas) 액화석유가스